-
[백준 1406] 에디터 (Kotlin 풀이)자료구조 & 알고리즘/BOJ 문제풀이 2022. 1. 11. 22:07
1.문제
한 줄로 된 간단한 에디터를 구현하려고 한다. 이 편집기는 영어 소문자만을 기록할 수 있는 편집기로, 최대 600,000글자까지 입력할 수 있다.
이 편집기에는 '커서'라는 것이 있는데, 커서는 문장의 맨 앞(첫 번째 문자의 왼쪽), 문장의 맨 뒤(마지막 문자의 오른쪽), 또는 문장 중간 임의의 곳(모든 연속된 두 문자 사이)에 위치할 수 있다. 즉 길이가 L인 문자열이 현재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으면, 커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은 L+1가지 경우가 있다.
이 편집기가 지원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LDBP $
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옮김 (커서가 문장의 맨 뒤이면 무시됨) 커서 왼쪽에 있는 문자를 삭제함 (커서가 문장의 맨 앞이면 무시됨)
삭제로 인해 커서는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나타나지만, 실제로 커서의 오른쪽에 있던 문자는 그대로임$라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추가함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지고, 그 이후 입력한 명령어가 차례로 주어졌을 때,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단, 명령어가 수행되기 전에 커서는 문장의 맨 뒤에 위치하고 있다고 한다.
2. 입력
째 줄에는 초기에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은 길이가 N이고, 영어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, 길이는 100,000을 넘지 않는다. 둘째 줄에는 입력할 명령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M(1 ≤ M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입력할 명령어가 순서대로 주어진다. 명령어는 위의 네 가지 중 하나의 형태로만 주어진다.
3. 출력
첫째 줄에 모든 명령어를 수행하고 난 후 편집기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열을 출력한다.
4. 포인트
-
- stack 을 통한 풀이
4. 문제 풀이
커서를 기준으로 두개의 배열을 관리하면 되겠다고 생각했고 각각의 상황을 생각해보니 stack 자료구조가 유리했다.
좀 더 빨리 푸는 습관을 들여야겠다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 import java.lang.StringBuilder import java.util.* fun main() = with(BufferedReader(InputStreamReader(System.`in`))) { val str = readLine() var left = Stack<Char>() var right = Stack<Char>() str.forEach { left.push(it) } val N = readLine().toInt() repeat(N) { val st = StringTokenizer(readLine(), " ") try { when (st.nextToken()) { "L" -> right.push(left.pop()) "D" -> left.push(right.pop()) "B" -> left.pop() "P" -> left.push(st.nextToken()[0]) } } catch (e: EmptyStackException) { } } println(left.toCharArray() + right.toCharArray().reversed()) }
'자료구조 & 알고리즘 > BOJ 문제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1463] 1로 만들기(Kotlin 풀이) (0) 2022.01.19 [백준 10757] 큰 수 A+B(Kotlin 풀이) (0) 2022.01.11 [백준 1052] 물병 (Kotlin 풀이) (0) 2022.01.05 [백준 14888 ] 연산자 끼워넣기 (python 풀이) (0) 2021.10.19 [백준 12865] DP 유형 : 01타일(python 풀이)01타일 (0) 2021.10.04 -